My Place/자기 고찰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열심히 일하자 “설렁설렁 성글게 한 달을 보내도 통장엔 한 달 치의 월급이 꽂히겠지만 그걸로 만족한다면 손해 보는 장사를 하는 겁니다. 시간은 대단히 희소하고 귀중한 자원이라 손쉽게 돈과 교환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니까요. 게다가 밀도가 성근 시간을 보낸 뒤엔 반드시 청구서를 받게 됩니다. (중략)누누이 강조하지만 일은 자신을 위해 하는 겁니다. 창업자나 자영업자만 그런 게 아닙니다. 직장인도 스스로를 위해 일하는 거예요. 내가 일의 주인이라 여기는 태도와 노력으로 시간의 밀도를 높이세요.”- 책 『내가 가진 것을 세상이 원하게 하라』에서 Reference: https://www.longblack.co/note/716?ticket=NT0b1a025921f0c19b891ab9ea6b0a56aedb0360ca 대체 불가능한 사람이 돼라 "어떤 경우이든 당신의 개성 그리고 그에 따른 독창성을 최대한 많이 개발하라. 대체 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사람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대체 불가능한 사람이 돼라. 당신이라는 사람은 세상에 하나뿐이다. 당신과 똑같은 기술과 경험을 가진 사람은 없다. 이것이야말로 우리 인간이 소유할 수 있는 진정한 자유이며 궁극의 힘이다.” - 인간 본성의 법칙의 저자 로버트 그린 경쟁할 시간에 나의 장점을 더 극대화하자. 경쟁을 하지 않는 것, 정확히는 경쟁자를 신경쓰지 않고 스스로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것을 철학으로 하고 있다. 설령 그런 시장이라고 하더라도 가장 좋은 전략은 내가 만들고 있는 물건, 더 잘 만드는 겁니다. 누군가 나보다 낫다고 해서 내가 꼭 실패하는 게 아니에요. 반대로 내가 상대를 실패하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까? 못합니다. 벽돌이라도 던질 수 있을 것 같나요? 안됩니다. 그럴 시간 있으면 자기 제품 더 잘 만들어야 해요. 가장 좋은 전략은 경쟁 자체를 하지 않는 겁니다." - 에버노트 대표 필 리빈 열심히 살아보고 포기하자. 진지하게 열심히 해보고 그만두는 것과 대충하다가 그만두는 것은 천지 차이이다. 진짜 열심히 하는 데까지 해야 미련 없이 털고 돌아설 수 있다. 그래야 나중에 다시 또 어설프게 건드려보는 일이 없다. 그리고 열심히 해놓고 좌절하면 어떤 분야든 만만한 게 없다는 것을 알게 되고 쏟은 노력이 아깝다고 느끼기 때문에 다른 분야를 선택할 때 더 신중하게 고르고 선택하면 절실하게 매달릴 수 있다. 반면 대충하면 별로 애를 안 썼기 때문에 계속하는 척하면서 버티기도 쉽고 그만두기도 쉽다. 잘 맞는 분야를 그저 발견하기만 하면 지금처럼 설렁설렁해도 잘 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 대충하면서 존버하는 이들은 아직 기회가 오지 않았다는 말을 좋아한다. 제대로 성장하려면 어느 분야건 기초부터 하나씩 배우고 차근차근 올라가야 된.. '해보지 뭐' 자세의 필요성 우리는 잘 알고 있는 것들이지만 귀찮거나 두려워서 대부분 실제로 행동에 옮기지 않는 경우가 많다. 내가 이 선택을 함으로써 큰 손실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냥 해보자 큰일 나봤자 뭐 얼마나 날까요 내가 가진게 생각보다 많지 않을 수도 있다. 우리가 ㅈ 됐을 때 떠올려야 하는 말 - 망하면 어때 ㅆ발 - 오히려 좋아 - 그럴 수도 있지 - 일이 망했지 내가 망했냐 출처: 열아홉 번째 책한조각 레터 겸손이란 겸손(=humility)은 비옥한 토양(=humus)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겸손이란 잘하는 것을 못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잘 받아들이고 성장할 준비가 되어있는 비옥한 토양과 같은 상태이다. 개발자는 개발을 두려워 하지 않는다. 나무에 앉은 새는 나뭇가지가 부러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김새해 '내가 상상하면 꿈이 현실이 된다.' => 개발자는 개발 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개발자란? 개발자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다. 문제를 풀어 내는 능력이 곧 개발자의 실력이다. 즉, 개발자 자신이 기본 알고리즘 개념들을 이해하고 그것을 응용해서 얼마나 쉽고 빠르게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알고리즘을 잘 푼다고 해서 꼭 개발을 잘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알고리즘을 잘하는 사람이 개발도 잘할 확률은 높다. 어떤 문제를 해결했다는 것은 그 사람이 도전했고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아낌없이 주었다는 결과이다. - 프로그래머스 답변 중에서 프로그래머스의 문자열 압축 문제의 질문하기에서 발견한 답변이다. 알고리즘을 왜 배워야하고 왜 풀어야하는지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해준 답변이였다. 그리고 개발자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