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소수를 찾는 방법이다.
고대 그리스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가 발견했다고 한다.
알고리즘
- 2부터 소수를 구하고자 하는 구간의 모든 수를 나열한다. 그림에서 회색 사각형으로 두른 수들이 여기에 해당한다.
- 2는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2를 쓴다. (빨간색)
- 자기 자신을 제외한 2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
- 남아있는 수 가운데 3은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3을 쓴다. (초록색)
- 자기 자신을 제외한 3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
- 남아있는 수 가운데 5는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5를 쓴다. (파란색)
- 자기 자신을 제외한 5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
- 남아있는 수 가운데 7은 소수이므로 오른쪽에 7을 쓴다. (노란색)
- 자기 자신을 제외한 7의 배수를 모두 지운다.
- 위의 과정을 반복하면 구하는 구간의 모든 소수가 남는다.
그림의 경우 이므로 11보다 작은 배수들만 지워도 충분하다. 즉, 120보다 작거나 같은 수 가운데 2, 3, 5, 7의 배수를 지우고 남는 수는 모두 소수이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를 파이썬으로 구현
def solution(n):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초기화: n개 요소에 True 설정(소수로 간주)
primes = [False,False] + [True]*(n-1)
# n의 최대 약수가 sqrt(n) 이하이므로 i=sqrt(n)까지 검사
for i in range(2,int(n**0.5)+1):
if primes[i]:
for j in range(2*i, n+1, i):
primes[j] = False
return [i for i in range(2, n) if primes[i] == True]
참고: Wikipidia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전공 >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위상 정렬 (Topological Sort) (0) | 2025.06.11 |
---|---|
[알고리즘] Disjoint Set (서로소 집합) - Union, Find (0) | 2023.07.01 |
[알고리즘] 완전탐색 (0) | 2023.05.22 |
[알고리즘] 플로이드 와샬 ( Floyd-warshall ) (0) | 2023.05.21 |
[알고리즘] 다익스트라(Dijkstra) (0)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