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C
VPC는 Virtual Private Cloud의 약자로 가상 사설 네트워크다.
클라우드(예: AWS, GCP, Azure) 상에서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이다.
VPC 안에는 IP 대역을 지정하고, 라우팅, 방화벽 설정, 인터넷 연결 여부 등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VPC는 계정, 가용 영역 또는 AWS 리전에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아래 다이어그램은 리전 1 안에서 네트워크 트래픽이 가용 영역 1의 VPC와 가용 영역 2의 VPC 간에 공유되는 구성을 보여준다.
동일한 아키텍처가 리전 2에도 표시되어 있다.
리전 1과 리전 2의 VPC는 서로 연결할 수 없다.
Subnet
VPC를 더 작게 나눈 하위 네트워크
하나의 VPC안에 여러 서브넷을 만들 수 있고, 각 서브넷은 특정 역할을 가질 수 있다. (예: 하나는 퍼블릭 서브넷 (인터넷과 연결됨), 다른 하나는 프라이빗 서브넷 (인터넷과 단절됨).)
일반적으로 같은 서브넷 혹은 같은 VPC 내 서브넷들 간에는 내부 통신이 가능하다.
subnet은 영어를 풀이하면 하나의 네트워크가 분할되어 나눠진 작은 네트워크이다.
AWS 사용설명서에서는 VPC의 IP 주소 범위라고 설명하고 있다.
subnet을 추가해야지 VPC에 AWS 리소스를 배포할 수 있다.
'👩🏻💻업무 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y를 활용한 noaa sflux 데이터 수집 파이프라인 디버깅 (0) | 2023.09.09 |
---|---|
단기간에 대량의 데이터 수집하기 (0) | 2023.05.28 |
column의 개수가 많은 데이터 효율적으로 저장하기 (0) | 2023.04.29 |
API 로그 편리하게 확인하기 (0) | 2023.04.04 |
CPU 효율적으로 할당하기 (0) | 2022.08.06 |